<중대가리나무> |
중대가리나무 |
꼭두서니과 |
Adina rubella Hance |
중국 |
제주도 |
|
|
 |
 |
제주도 남쪽의 계곡 주변에 비교적 드물게 자라는 작은 키나무다.
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, 높이 3-4m다.
잎은 마주나며, 피침형 또는 달걀 모양의 피침형으로 길이 1-4cm, 폭 0.4-2.0cm, 가장자리가 밋밋하다. 잎 양면은 잎줄 위에 잔털이 난다. 잎자루는 짧다.
꽃은 8-9월에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난 머리모양꽃차례에 피며,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이다. 꽃받침잎은 선형이고, 끝에 잔털이 있다. 화관은 5갈래로 갈라지며, 길이 3mm쯤이다. 수술은 5개다. 암술대는 매우 길고, 암술머리는 둥글다.
열매는 삭과이며, 도란상 긴 타원형으로 길이 5-6mm이고, 2개로 갈라진다. |
 |
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꼭두서니과 식물들에 비해서 꽃은 머리모양꽃차례를 이루어 피므로 구분된다. |
 |
법정보호종으로 지정된 적이 없다. |
 |
자생지가 제주도 남쪽의 몇몇 계곡 등으로 한정되는 희귀식물이다. 자생지에 대한 정밀 조사가 필요하며, 도로 건설, 하천 정비 등으로 자생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. 제주도의 보호식물로 지정해 보호할 필요가 있다. 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