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 |
|
<국화방망이> |
국화방망이 |
국화과 |
Senecio koreanus Kom. |
중국 |
가리왕산, 설악산, 소백산, 황학산 |
|
|
 |
 |
추풍령 이북의 높은 산 습기가 있는 땅에 매우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.
줄기는 곧추서며, 자줏빛이 돌고, 높이 50-100cm다.
뿌리에서 난 잎은 여러 장이 모여 나며, 잎자루가 길고, 삼각형 또는 달걀 모양의 삼각형으로 길이 2-8cm, 폭 2-5cm, 끝이 뾰족하고,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. 줄기에서 난 잎은 어긋나며, 가운데 부분까지는 뿌리잎과 모양이 비슷하지만 잎자루가 짧다. 줄기 위쪽의 잎은 피침형, 잎자루가 없다.
꽃은 5-7월에 머리모양꽃차례가 여러 개 모여 겹산방꽃차례로 달리며, 노란색이다. 머리모양꽃은 지름 2-3cm이며, 가장자리에 혀모양꽃, 가운데 부분에 관모양꽃이 달린다. 모인꽃싸개조각은 둥근 피침형, 1줄로 배열한다.
열매는 수과이며, 원추형이다. 씨에 흰색 우산털이 난다. |
 |
우리나라의 솜방망이속 식물들에 비해서 잎은 삼각형이므로 구분된다. |
 |
1993년 환경처 특정야생식물(한국특산종)로 지정된 적이 있다. |
 |
전문가들의 눈에도 띄지 않을 만큼 희귀하다. 원예 가치가 높은 식물이므로 자생지 훼손이 우려된다. 국가관리 법정보호식물로 지정해 보호해야 한다. |
자연환경보전법(1993) |
|
|
|
|
|
|